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tz
- Pwnable
- 사이버보안학과
- SuNiNaTaS #mandu-mandu #AjouUniv #forensics
- systemhacking
- 운영체제
- HackCTF
- AjouUniv #Whois #Reversing
- 코딩도장
- hackerschool
- N0Named
- Whois #정보보안교육 #webhacking.kr
- 아주대학교
- Variable Partition
- Whois #정보보안교육 #AjouUniv #Pwnable
- AjouUniv #Whois #정보보안교육
- AjouUniv #Whois #정보보안교육 #Pwnable
- Whois #정보보안교육 #Ajou
- Whois #AjouUniv #정보보안교육 #Pwnable
- 스케줄링
- 아주대학교 #Whois #정보보안교육 #4주차
- webhacking
- AjouUniv #SuniNatas #Web
- Allocation Starategy
- python
- N0NamedWargame #AjouUniv #mandu-mandu #forensics
- Memory Virtualization
- Dreamhack
- N0NamedWargame #mandu-mandu #forensics #길에서주어온만두
- N0NamedWargame #mandu-mandu #forensics #left_side_B
- Today
- Total
chipkkang9's story
[환경구축] Windows에서 ubuntu 사용하기 : WSL2 / VMware 본문
Installation Ubuntu on WSL2
해킹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윈도우 사용자라면 wsl를 사용하는게 편한 경우가 많다!
VMware에 비해서 굉장히 가볍고 쓰기 편하기 때문이다.
우선 내가 Windows 사용자이기 때문에 Windows 10, 11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시스템 요구 사항 먼저 체크하기!
키보드의 Windows + S 키를 눌러 "PC 정보"를 검색하여 실행한다.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Windows 사양"이라고 표시되어있는 부분이 보일 텐데, '버전' 부분에 내 기기의 버전을 확인한다.
WSL2을 실행하려면 20H1 이상의 사양이 필요하다. (20H1, 20H2, 21H1, ... )
만약에 이보다 낮은 버전이라면, Windows Update 설정을 열어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한다.
WSL2는 리눅스를 Windows의 터미널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WSL2는 Windows PowerShell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Microsoft Store에 있는 'Windows Terminal'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유는 좀 더 예뻐서...)
Microsoft Store > Windows Terminal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데, 설치하면 된다.
2. WSL2 기본 세팅하기
터미널을 다운받았다고 해서 WSL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인 세팅이 필요한데, 지금부터 사용하는 명령어를 잘 긁어서 이용하길 바란다.
DISM(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이라는 명령어로 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기능을 활성화한다.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버전: 10.0.19041.844 이미지 버전: 10.0.19043.928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중 [==========================100.0%==========================] |
활성화 설정이 되었으면, VirtualMachinePlatform 기능을 활성화한다.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 도구 이미지 버전: 10.0.19043.928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중 [==========================100.0%==========================]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
위의 두 기능을 활성화해해줄 때, 100% 작업을 완료한 것이 맞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보아야 한다.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 이 문구가 나오지 않으면 완료된 것이 아니니, 만약 중간에 중단되었다면 Ctrl + C를 날려 중단시켰다가 다시 작업을 시작해주어야 한다.
만약 그래도 작업이 제대로 안된다면, 컴퓨터를 재부팅하거나 구선생님한테 여쭤보도록 하자. (에러가 진짜 제각각이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제대로 된 활성화를 위해 컴퓨터를 재부팅한다.
3.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뭔가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을 수도 있다. WSL2는 있는데, WSL1은 왜 안쓰지?
안쓰지 않는다. 근데 새 거가 좋은 것일 만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요즘에는 WSL2로 많이 사용한다.
지금부터는 WSL을 우선 설치할 것이고, 이는 WSL1일 확률이 높으므로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한다.
Windows PowerShell 혹은 Windows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 wsl --install |
그러면 wsl이 다운로드 되어있을 텐데 다음 명령어를 통해 WSL의 버전을 확인하고, 그 아래 명령어를 통해 만약 버전이 1이라면 2로 업데이트 시켜주도록 하자.
# wsl의 버전 확인 $ wsl -l -v # wsl의 버전 변경 $ wsl --set-default-version2 |
4. WSL에 Ubuntu 설치하기
이제 WSL에서 사용할 Ubuntu를 설치해볼 것이다.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아까 터미널을 설치했던 Microsoft Store에서 이번에는 'Ubuntu'를 검색하고 'Ubuntu'를 설치해 준다.
그 다음 Windows + S를 통해 검색창을 열고 'Ubuntu'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아마 처음 설치한 사람들은 계정 설정하는 화면이 나올텐데, 당황하지 말고 자기 계정 설정, 비밀번호 설정을 마치면 된다.
5. WSL2에서 Ubuntu 사용하기
이제 아까 설치했던 Windows Terminal에서 WSL2 기능을 사용해보자.
위의 화면에서 Ubuntu 혹은 Ubuntu xx.xx.x 를 설치했다면 이를 클릭하여 실행시키면 Windows Terminals에서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끝!
Installation Ubuntu on VMware
이제는 조금 고전적인(?) 방법이 된 VMware를 사용하여 Ubuntu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WSL이 편하다고 해서 WSL만 사용하는 것은 지양하도록 하자.
가상머신을 사용해서 하는 것이 남들이 보기에도 내가 보기에도 좀 더 간지나 보인다. 그리고 편리성만 배제하고 본다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가상머신(VMware)에서 더 많기 때문에 이 또한 알아두기 바란다.
준비물이 두 가지 필요하다. VMware와 Ubuntu의 이미지(.iso) 파일이다.
1. Installation VMware
VMware Workstation Player 혹은 VMware Workstation Pro, 뭐든 상관없다.
사실 무료로 구할 수 있는 건 VMware Workstation Player 인데 뭐.... 어둠의 경로를 통한다면 ㅋㅋㅋ 보안인으로서. 윤리 강령은 지키자.
- VMware Workstation Player 다운로드 링크
Download VMware Workstation Player | VMware
Download VMware Workstation Player for free today to run a single virtual machine on a Windows or Linux PC, and experience the multi-functional capabilities.
www.vmware.com
이를 다운로드 해주면 된다. 설치 과정까지는 따로 언급해두진 않겠다. (잘 할거라 믿는다.)
2. Installation Ubuntu image
가장 최신 Ubuntu를 설치하는 것이 좋겠지? 아래 링크를 통해서 이미지 파일을 받을 수 있다.
- Ubuntu Desktop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는 곳으로 redirect 되는 링크이다. 'Download xx.xx.x'로 들어가자.
Download Ubuntu Desktop | Download | Ubuntu
Ubuntu is an open source software operating system that runs from the desktop, to the cloud, to all your internet connected things.
ubuntu.com
작성일(2023.05.17)을 기준으로 최신 release된 Ubuntu가 22.04인데, 우분투는 앞자리 버전이 짝수인 것인게 근본이다.
아무튼, 이를 사용하면 Ubuntu의 이미지 파일(.iso)을 다운받을 수 있으니 다운로드하도록 하자.
3. Installation Ubuntu on VMware
자 이제 이미지를 불러와서 Ubuntu를 사용해보자. Step by Step으로 진행할 것이니 잘 따라와보도록 하자.
(1) VMware를 실행한다.
(2) New Virtual Machine으로 새로운 VM을 로드해주도록 하겠다.
(3) 내 Ubuntu 이미지가 다운로드된 경로를 설정해준다.
(4) 내가 생성할 VM의 이름과 username, password를 설정한다.
(5) 생성될 VM의 이름을 설정해 주고, 이때 생성되는 이미지는 .vmx 파일인데, 이 파일이 어디에 저장될지도 설정한다.
(6) 해당 VM 이미지가 기본적으로 세팅될 VM의 크기이다. 용량만 부족하지 않다면 40GB는 기본으로 주는 것을 추천한다.
(7) 설정을 마친다.
(8) Ubuntu를 실행한다.
Ubuntu를 실행하더라도 세팅이 끝난 것은 아니다. 그다지 어려운 것은 아니니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해파리랑 눈마주치면 ㅎㅇ 한 번 해주자.(배경화면은 버전에 따라 다르다.)
이 글이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Hacking > System H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SB(Format String Bug) 취약점 (0) | 2022.02.09 |
---|---|
Pwntools 기본 사용법 정리 (0) | 2022.02.09 |